2024/03 4

[Mac] OpenJDK 17 설치 및 버전 변경

1. homebrew 공식 홈페이지 : https://formulae.brew.sh/formula/openjdk@17 brew install openjdk@17 2. 설치된 openjdk 링크파일 생성 sudo ln -sfn /opt/homebrew/opt/openjdk@17/libexec/openjdk.jdk /Library/Java/JavaVirtualMachines/openjdk-17.jdk 3. zshrc에 JAVA_HOME 설정 rc파일을 변경하기 위해 관리자 권한이 있거나 sudo명령어를 사용해야합니다. 아래와 같이 jdk 버전에따라 JAVA_HOME 변수를 구분해두면 추후 path에서 간단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vi ~/.zshrc ### zshrc 안에 내용 입력 ### e..

MacOS 2024.03.30

[React] yarn으로 husky를 설정해보자(feat. .git경로)

Husky란? Git hook입니다. git과 관련된 액션이 일어날때 husky에 설정한 처리가 수행됩니다. 쉬운 예시로, pre-commit 훅을 사용하면 커밋 전 husky에 사용자가 설정한 액션이 수행됩니다. 공식사이트 : https://typicode.github.io/husky/ 사용 전 주의사항 : husky를 설치하려는 프로젝트의 폴더 경로에 .git이 있어야 합니다. husky는 yarn으로 설치할때와 .git의 위치에 따라 설치 방법이 달라져서 조금 까다롭습니다. 저는 오늘 프로젝트 폴더가 아닌 상위 폴더에 .git이 있는 관계로 설치 과정이 평범하지 않아 이러한 상황에 설치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 일반적인 구조 내 폴더 구조 ReactApp (Root) ㄴ .git ㄴ ....

Develop/React 2024.03.25

[Mac] nvm으로 node 버전 변경(zshrc)

안녕하세요 :) 이번 글에서는 nvm으로 node의 버전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프론트엔드는 프로젝트마다 node와 npm의 버전이 다르고, 이에따라 자주 버전을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node를 따로 설치하기보단 nvm(node version manager)을 활용하여 노드의 버전을 자주 바꾸게 됩니다. nvm 명령어로 간단하게 node의 버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bashrc와 zshrc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저는 zshrc에서 변경하였습니다. 아래 순서대로 진행해주시면 되겠습니다. nvm 설치 # nvm 설치 brew install nvm .zshrc파일 수정 # /.zshrc 파일 열기 vi ~/.zshrc # .zshrc파일 끝에 아래 두 줄 입력 ex..

MacOS 2024.03.10

[React] react + vite + typescript + yarn 프로젝트 환경구성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전에, vite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릴게요 :) vite란?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javascript 모듈이 증가될 수록 javascript 기반의 도구는 병목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개발의 생산성을 낮추고 변경 파일에 대한 피드백에 영향을 주었으나 vite에서 지원하는 ES Modules(ESM)을 통해 이러한 현상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https://ko.vitejs.dev/guide/why.html 버전 node : 20.11.1 (버전 변경 방법 : https://withwltn.tistory.com/31) yarn : yarn berry (4.1.1) react : 18.2.0 typescript : 5.2.2 프로젝트 생성 프로..

Develop/React 2024.03.10